사자성어(39)
-
설상가상/설상가상 뜻/설상가상 유래/사자성어 설상가상
설상가상(雪上加霜) (雪:눈 설, 上:위 상, 加:더할 가, 霜:서리 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인 격이라는 뜻. →어려운 일이 연거푸 일어난다는 뜻을 가진 말이다. 유의어:병상첨병(病上添病) 반의어:금상첨화(錦上添花) 안녕하세요! 오늘은 설상가상이라는 사자성어 가지고 왔습니다~! 이것은 유래가 명확치 않아서 자료 조사가 조금 미흡할 수도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ㅠㅠ 설명 시작할게요! 설상가상(雪上加霜)은 주로 불교서적들에 그 유래가 나와있는데, 중국 송나라(우리나라 고려시대) 시절에 지어진 책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이라는 책에 나오는 유래로 설명드릴게요! 대양화상(大陽和尙)이라는 법사, 정말 쉽게 말하자면 수양하는 스님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이(伊) 선사라는 인물도 한 명 있었는데, 이 사람..
2020.12.22 -
교각살우/교각살우 뜻/교각살우 유래/사자성어 교각살우
교각살우(矯角殺牛) (矯:바로잡을 교, 角:뿔 각, 殺:죽일 살, 牛:소 우)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 오히려 소를 죽인다는 뜻, →사소한 일에 지나치게 힘을 쓰다가 큰 낭패를 본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 유의어:소탐대실(小貪大失), 과유불급(過猶不及) 오늘 소개드려볼 것은~ 바로 교각살우(矯角殺牛)입니다! 괜한 쓸데없는 거 바로잡으려다 큰 일을 망친다는 뜻으로 많이 쓰입니다. 유래와 함께 설명드릴게요! 중국에서는 종(鐘)을 만들 때 뿔이 곧게 나 있고 통통하고 잘 생긴 소의 피를 종에다 바르고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답니다. 어느날 한 농부가 제사에 사용할 소의 뿔의 양쪽 균형이 맞지 않아 불~편 했답니다. 그래서 줄을 팽팽하게 뿔에 동여매었더니 뿔이 뿌리채 빠져버려 소가 죽고 말았습니다. 참 웃긴 상황입..
2020.12.18 -
낭중지추/낭중지추 뜻/낭중지추 유래/사자성어 낭중지추
낭중지추(囊中之錐) (囊:주머니 낭, 中:가운데 중, 之:어조사 지, 錐:송곳 추)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드러남 유의어:추처낭중(錐處囊中) 오늘은 낭중지추! 이 성어가 유래된 인물들의 대화 내용 위주로 설명드릴게요~ 전국시대, 진나라의 공격을 받은 조나라 혜문왕(惠文王)은 동생인 평원군(平原君)을 초나라에 보내어 구원을 요청하려 하였습니다. 평원군은 초나라를 설득할 인재 20명을 데려가려고 하였습니다. 그의 식객 중에서 19명은 선정이 어렵지 않았지만, 한 명이 부족해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모수(毛遂)라는 인물이 남은 자리에 자원하였습니다. 그러자 평원군이 그에게 질문하기를, "그대는 내 부하로 들어온 지 얼마나 되었소?" 답하기를, "3년 되었..
2020.12.14 -
지록위마/지록위마 뜻/지록위마 유래/사자성어 지록위마
지록위마(指鹿爲馬) (指:가리킬지, 鹿:사슴 록, 爲:할 위, 馬: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 →윗사람을 농락하고 권세를 함부로 부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 오늘은 지록위마 입니다..!! 사자성어가 유래되었던 진나라 때로 이야기의 시점을 옮겨볼까요? 중국 왕조를 통일한 시황제가 죽은 뒤, 간신이었던 조고(趙高)와 승상이었던 이사(李斯)는 필적 위조를 하여 아무런 효력 없는 종이를 마치 진시황제의 유서처럼 탈바꿈시켰습니다. 그 내용으로 인해 시황제의 장남인 태자 부소(扶蘇)를 자결하게 하고 멍청하고 어린 호해(胡亥)를 허수아비처럼 황제로 세워 자신들이 권력을 독점하였습니다. 여기서 호해의 한자를 보면 胡:턱 밑살 호, 亥:돼지 해인데, 백성들은 안중에 없고 자기의 사리사욕만 채우며, 간신에게 휘둘리..
2020.12.11 -
대기만성/대기만성 뜻/대기만성 유래/사자성어 대기만성
대기만성(大器晩成) (大:큰 대, 器:그릇 기, 晩:늦을 만, 成:이룰 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라는 뜻. →큰 인물이 될 사람들은 늦게 이루어짐을 뜻하는 말. 유의어:대기난성(大器難成) 가슴이 웅장 해지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말을 들으면 마치 내가 드라마 주인공처럼 실패를 거듭하여도, 늦더라도 크게 성공한다. 라는 사자성어인 대기만성(大器晩成)! 유래 설명드리겠습니다~ 대기만성이란 말이 처음 나왔던 곳은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이라는 책에서 '큰 그릇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라는 뜻의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免(면할 면) 자가 晩(늦을 만) 자로 잘못 전래되어 뜻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대기만성이 사용되었던 또 다른 책은 바로 삼국지 위지(魏志)입니다. 위나라의 조조가 아..
2020.12.10 -
삼고초려/삼고초려 뜻/삼고초려 유래/사자성어 삼고초려
삼고초려(三顧草廬) (三:석 삼, 顧:돌아볼 고, 草:풀 초, 廬:오두막집 려)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유의어:초려삼고(草廬三顧), 토포악발(吐哺握髮) 오늘은 삼고초려입니다! 주로 회사에서 인재를 정성들여 스카우트하는 경우에 자주 쓰이는 말인데요. 유래 위주로 설명드릴게요~ 삼고초려는(三顧草廬)는 삼국지(三國志) 중 유비의 촉한 차지에 가장 큰 공을 했던 제갈량(諸葛亮)의 출사표(出師表)에 나오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유비와 조조의 싸움에서 유비가 크게 패한 뒤, 형주라는 곳에 몸을 맡긴 유비 그곳에 머물며 형주의 인재인 사마휘(司馬徽)에게 인재를 추천받았습니다. 그러자 사마휘는 "복룡(伏龍)과 봉추(鳳雛) 둘 중 하나만 얻어도 세상을 평정할 수 ..
202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