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56)
-
순망치한/순망치한 뜻/순망치한 유래/사자성어 순망치한
순망치한(脣亡齒寒) (脣:입술 순, 亡:잃을 망, 齒:이 치, 寒:찰 한)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할 관계를 뜻하는 말이다. 유의어:조지양익(鳥之兩翼), 거지양륜(車之兩輪), 보거상의(補車相依) 오늘의 사자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서로간에 없어서는 안 될 관계를 뜻하는 말이죠..! 바로 순망치한의 유래 배워볼까요? 순망치한은 공자의 제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그 유래가 나와있습니다. 진(晋)의 헌공이 괵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우나라 우공에게 좋은 말과 보화를 바치며 길을 터달라고 부탁하였습니다. 괵과 진의 사이에 있었던 우나라의 우공은 재물이 탐나 헌공의 요청을 받아들이려 하였습니다. 이때 신하인 궁지기(宮之奇)가 말하기를, "괵은 우와 한..
2020.12.15 -
낭중지추/낭중지추 뜻/낭중지추 유래/사자성어 낭중지추
낭중지추(囊中之錐) (囊:주머니 낭, 中:가운데 중, 之:어조사 지, 錐:송곳 추)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드러남 유의어:추처낭중(錐處囊中) 오늘은 낭중지추! 이 성어가 유래된 인물들의 대화 내용 위주로 설명드릴게요~ 전국시대, 진나라의 공격을 받은 조나라 혜문왕(惠文王)은 동생인 평원군(平原君)을 초나라에 보내어 구원을 요청하려 하였습니다. 평원군은 초나라를 설득할 인재 20명을 데려가려고 하였습니다. 그의 식객 중에서 19명은 선정이 어렵지 않았지만, 한 명이 부족해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모수(毛遂)라는 인물이 남은 자리에 자원하였습니다. 그러자 평원군이 그에게 질문하기를, "그대는 내 부하로 들어온 지 얼마나 되었소?" 답하기를, "3년 되었..
2020.12.14 -
지록위마/지록위마 뜻/지록위마 유래/사자성어 지록위마
지록위마(指鹿爲馬) (指:가리킬지, 鹿:사슴 록, 爲:할 위, 馬: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 →윗사람을 농락하고 권세를 함부로 부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 오늘은 지록위마 입니다..!! 사자성어가 유래되었던 진나라 때로 이야기의 시점을 옮겨볼까요? 중국 왕조를 통일한 시황제가 죽은 뒤, 간신이었던 조고(趙高)와 승상이었던 이사(李斯)는 필적 위조를 하여 아무런 효력 없는 종이를 마치 진시황제의 유서처럼 탈바꿈시켰습니다. 그 내용으로 인해 시황제의 장남인 태자 부소(扶蘇)를 자결하게 하고 멍청하고 어린 호해(胡亥)를 허수아비처럼 황제로 세워 자신들이 권력을 독점하였습니다. 여기서 호해의 한자를 보면 胡:턱 밑살 호, 亥:돼지 해인데, 백성들은 안중에 없고 자기의 사리사욕만 채우며, 간신에게 휘둘리..
2020.12.11 -
대기만성/대기만성 뜻/대기만성 유래/사자성어 대기만성
대기만성(大器晩成) (大:큰 대, 器:그릇 기, 晩:늦을 만, 成:이룰 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라는 뜻. →큰 인물이 될 사람들은 늦게 이루어짐을 뜻하는 말. 유의어:대기난성(大器難成) 가슴이 웅장 해지는 사자성어입니다. 이 말을 들으면 마치 내가 드라마 주인공처럼 실패를 거듭하여도, 늦더라도 크게 성공한다. 라는 사자성어인 대기만성(大器晩成)! 유래 설명드리겠습니다~ 대기만성이란 말이 처음 나왔던 곳은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이라는 책에서 '큰 그릇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라는 뜻의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免(면할 면) 자가 晩(늦을 만) 자로 잘못 전래되어 뜻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대기만성이 사용되었던 또 다른 책은 바로 삼국지 위지(魏志)입니다. 위나라의 조조가 아..
2020.12.10 -
삼고초려/삼고초려 뜻/삼고초려 유래/사자성어 삼고초려
삼고초려(三顧草廬) (三:석 삼, 顧:돌아볼 고, 草:풀 초, 廬:오두막집 려)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유의어:초려삼고(草廬三顧), 토포악발(吐哺握髮) 오늘은 삼고초려입니다! 주로 회사에서 인재를 정성들여 스카우트하는 경우에 자주 쓰이는 말인데요. 유래 위주로 설명드릴게요~ 삼고초려는(三顧草廬)는 삼국지(三國志) 중 유비의 촉한 차지에 가장 큰 공을 했던 제갈량(諸葛亮)의 출사표(出師表)에 나오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유비와 조조의 싸움에서 유비가 크게 패한 뒤, 형주라는 곳에 몸을 맡긴 유비 그곳에 머물며 형주의 인재인 사마휘(司馬徽)에게 인재를 추천받았습니다. 그러자 사마휘는 "복룡(伏龍)과 봉추(鳳雛) 둘 중 하나만 얻어도 세상을 평정할 수 ..
2020.12.08 -
새옹지마/새옹지마 뜻/새옹지마 유래/사자성어 새옹지마
새옹지마(塞翁之馬) (塞:변방 새, 翁:늙은이 옹, 之:어조사 지, 馬:말 마) 변방 노인의 말이라는 뜻 →인생에서 행복과 불행은 변수가 많으므로 단정하기가 어렵다는 말 유의어:새옹득실(塞翁得失) 오늘은 새옹지마입니다~ 인생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낙관적인 사자성어인데요! 유래와 함께 살펴볼까요? 중국 서한(고조 유방이 통일한 한(漢) 나라) 시대에 회남왕 유안(劉安)이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 회남자(淮南子)라는 책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입니다. 중국 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노인이 기르던 말이 국경 너머로 도망가버립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이 위로하자 노인이 말하기를, "이것이 무슨 복이 될는지 어떻게 알겠습니까?" 라고 답했습니다. 몇 달이 지난 후, 도망갔던 말이 여러 야생마들..
2020.12.07